정지기 2010. 6. 1. 13:40

 

 

 

씀바귀의 효능

 

항암, 항스트레스, 항알레르기, 노화방지에 효험

잎과 뿌리 모두 나물로 먹을 수 있습니다. 


씀바귀는 맛은 쓰고 성질은 찹니다. 

설사를 멎게 하고 부기를 가라앉히는 효능이 있습니다. 

또한 뱀에 물린 상처나 요로결석을 치료합니다. 

약효로는 해열, 해독, 건위, 조혈, 소종등의 효능이 있으며 허파의 열기를 식혀 준다. 

또한 괴사한살을 배출시키고 새살을 나오게 합니다. 

주로 강장, 강정, 건위, 식욕부진, 이질, 간경화, 유방염, 구내염, 항종양, 항암, 오심, 오장보익, 위염, 진정, 진통, 불면증, 축녹증, 소화불량, 폐렴, 간염, 고혈압, 지혈, 혈액순환촉진, 음낭습진,

타박상, 외이염, 종기 등에 사용합니다. 

말린 약재를 5그램 정도를 달여서 복용합니다. 

타박상이나 골절, 종기에는 생풀을짓찧어 환부에 붙입니다. 

음낭습진은 달인 물로 환부를 닦아낸다.

씀바귀를 하루 8~12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합니다.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19px; FONT-FAMILY: '굴림체'; TEXT-ALIGN: justify">

[씀바귀(고채:苦菜: sowthistle)


씀바귀는 추위를 견디는 힘이 강하고, 흰색과 노란색 꽃이 핍니다. 

항산화 비타민 A, B1, 철분이 매우 풍부하다. 

특히 칼슘,철, 비타민 함량은 시금치보다 월등히 높습니다. 

최근에는 골수암 세포를 억제하는 항암 효과와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는

효능이 있음이 밝혀졌습니다.


찬 성질을 갖고 있어서 오장(五腸)의 나쁜 기운과 열기를 없애주고 심신을 안정시키며 잠을

몰아내는 효과가 있어서 수험생이나 스트레스가 심한 사람에게 좋습니다. 

젖몸살이 나거나 기침을 할 때, 소변 색이 붉고 요도가 거북할 때 좋습니다.


약용으로 사용할 때는 5~10그램씩 달여 마시면 되고, 반찬으로 먹을 때는 씀바귀 뿌리를 우려낸

다음 나물로 무치면 됩니다.

그러나 설사를 자주 하는 사람은 먹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고채(苦菜)


성미:맛은 쓰고 성질은 찹니다.

 

효능:청열(淸熱), 양혈(凉血), 해독(解毒)작용이 있습니다.

 

해설:

① 이질에 유효하며,

② 간경화에는 이 약물과 초장초(酢漿草)를 각각 40그램씩 돼지고기를 싸서 복용하고,

③ 만성기관지염에는 대추와 같이 달여 복용합니다. 

④ 부인의 유방염에는 생것을 짓찧어 붙이고,

⑤ 구내염에는 즙을 내어 술에 타서 마십니다.

 

성분: 항종양 성분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약리: 생쥐의 대퇴부 육종(肉腫)에서 괴사 출혈을 억제시킵니다.]


[ 자생식품인 씀바귀가 성인병 예방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 졌습니다.


항산화 효과가14배, 항박테리아 효과가 5배, 콜레스테롤 억제 효과가 7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밖에 씀바귀가 항스트레스, 항암, 항알레르기 효과가 높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씀바귀 추출물이 이처럼 높은 효과를 보이는 것은 면역증강, 항암에 뛰어난,알리파틱’과

노화억제,항산화 기능을 지닌‘시나로사이드’와 같은 성분이 다른 식품에 비해 풍부하기

때문입니다.


(효능:가나다순: 간경화, 간염, 강장, 강정, 건위, 고혈압, 골절, 구내염, 노화방지, 만성기관지염, 면역력 증강, 뱀에 물린데, 부종, 불면증, 생활습관병예방, 설사, 소종, 소화불량, 식욕부진, 오심, 오장보익, 요로결석, 위염, 유방염,음낭습진, 이질, 조혈, 종기, 지혈, 진정, 진통, 축농증, 콜레스테롤 억제, 타박상, 폐렴, 항박테리아, 항산화, 항스트레스, 항알레르기,

항암(골수암 세포 억제), 항종양, 해독, 해열, 혈액순환촉진 등......)

씀바귀를 토끼에게 먹이면 병에 걸리지 않는다고 합니다. 

야산 논밭에 널려있는 흔한 씀바귀가 우리 인체에 미치는 영향력은 대단히 탁월합니다. 

나물로 인기 있는 달래, 냉이, 씀바귀가 노랫 가사에도 실려 있듯이 한국인의 체질을

말없이 지켜온 보약인 것이다. 

건강도 지키고 입맛을 돋우어 주는 다양한 토종나물로 우리의 건강을 지켜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