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y You`ll Stay Until Tomorrow / Tom Jones
Say you`ll stay until tomorrow
내일까지 머물러 주겠다고 말해 줘요
I can`t face tonight alone
오늘 밤 혼자서 감당할 수가 없어요
Though I know it`s over
난 모든 게 끝이 났다는 걸 알지만
And we`re through
우리가 헤어졌다는 걸
Say you`ll stay until tomorrow
내일까지 머물러 주겠다고 말해주세요
I need you
난 당신이 필요하답니다
The words have all been said
모든 건 결정됐다고 말했죠
Your mind`s made up to go
당신은 떠나겠다는 결심을 말이에요
You`re standing by the bed
침대 곁에 서 있는 당신
Like someone I don`t know
마치 낯선 사람처럼 난 알 수 없어요
Your love has died
당신의 사랑은 시들었어요
And there is nothing you can do
그리고 당신이 할 수 있는 건 아무것도 없군요
Though you try(though you try)
노력 해보세요(노력 해보세요)
Yes you try (Yes you try)
그래요 한번 노력해봐요
You can`t live (you can`t live)
당신은 살아갈 수 없잖아요
So ...
그러니 ...
Say you`ll stay until tomorrow
내일까지 머물러 주겠다고 말해 줘요
I can`t face tonigh alone
난 오늘 밤 혼자서 감당할 수 없어요
Though I know it`s over
난 다 끝났다는 걸 알고 있지만
And we`re through
그리고 우리가 헤어졌다는 걸
Say you`ll stay until tomorrow
당신은 내일까지 머물러 주겠다고 말해 주세요
I need you
난 당신이 필요해요
I`ve known for some time now
지금 당분간 은 알고 있을겁니다
That thing`s just ain`t been right
나아지지 않으리란 것들을 말이에요
Cause when we try to talk
우리가 얘기를 하려고 노력할 때면
We both get so uptight
우리 둘은 무척 긴장을 하게 되니까요
But now you`ve told the truth
하지만 이제 당신은 진실을 말했었고
And I know where I stand
그리고 난 어떤 입장을 취해야 할지를 알고 있어요
Though it hurts(though it hurts)
비록 그것이 고통이 될지라도
Deep inside(deep inside)
마음 속 깊이(마음 속 깊이)
Give me time(give me time)
내게 시간을 좀 주세요
I`ll get by
내가 헤어날 수 있도록
So ...
그러니 ...
Say you`ll stay untin tomorrow
내일까지 머물러 주겠다고 말헤주세요
I can`t face tonight alone
난 오늘 밤 홀로 감당할 수 없어요
Though I know it`s over
모든 게 끝이 난 걸 알지만
And we`re through
우리가 헤어졌다는 걸 말이에요
Say youll stay until tomorrow
내일까지 머물러 주겠다고 말해줘요
I need you
난 당신이 필요하거든요
Though I know it over
난 모든 게 다 끝났다는 걸 알지만
And we`re through
우리가 헤어졌다는 걸 말이에요
Say you`ll stay until tomorrow
내일까지 머물러 주겠다고 말해 주세요
I need you
난 당신이 필요해요 ㅡ,

[Tom Jones(톰 존스)]는 1940년 영국 남부 웨일즈 지방의
광산촌에서 태어났다. [Tom Jones]는 타고난 노래 실력 때문에
어린 시절부터 성가대 활동을 했다. 17세에 이미 가장이 되어 있었으며
가족을 위해 이 직업 저 직업을 전전하면서도 음악에 대한 꿈을 버리지 않았다.
1963년에 결국 [Tommy Scott & The Senators(토미 스코트 앤 더 시내어터스)]라는
이름의 밴드를 결성한다. 이후 이 그룹에서 활동하던 중 [Tom Jones]를 눈여겨 본 뮤지션
[Gordon Mils(고든 밀스)]의 도움으로 솔로로 전향하여 당시 인기있던 영화 제목을
따 이름을 [Tom Jones]로 바꾸고 1964년 첫 싱글 [Chills Aad Fever]를
발표하고 그 이듬해 발표한 [It's Not Unusual]이 영국차트 정상과
미국차트 탑텐에 오르면서 본격적인 명성을 얻기 시작했다.

[What's New Pussycat], [With These Hands],
[Thunder Ball], [Little Lonely one]등의 히트 행진을
이어나간 [Tom Jones]는 당시 [Elvis Presley(엘비스 프레슬리)]를
연상시키는 열정적인 무대 매너와 테너에 가까운 풍부한 성량의 보컬을 구사하며
뭇 여성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60년대 브리티쉬 인베이젼의 물결 한가운데에 그는 자리
잡고 있었으며 그가 무대에서 노래를 부를 때면 수많은 여성 팬들이 속옷을 벗어서
무대 위로 던지는 일이 다반사로 일어나기도 했다. 1966년경부터 그는 이미지
변신을 시도해 [Green Green Grass Home], [Detroit City]등 컨트리
히트송을 발표한다. 최전성기였던 60년대 말에는 미국 TV에도 진출,
3년간 [This Is Tom Jones]라는 쇼프로의 진행을 맡기도 했다.

이후 라스베가스로 거점을 옮긴 [Tom Jones]는
라이브 무대 활동에 전념하는 한편으로 [Help Yourself],
[Tom Jones Live In Las Vegas]등 히트 앨범을 발표하면서 80년대
초반까지 꾸준히 인기를 유지해갔다. 1988년에 그는 또 한번의 이미지 변신을
감행한다. [Prince(프린스)]의 히트싱글 [Kiss]를 리메이크 하면서 일렉트로닉 댄스
스타로 거듭난 것이다. [Tom Jones]의 노래는 클럽가를 강타하며 다시한번 그의
명성을 공고히 다졌다. 1993년에는 영국의 글래스톤베리 페스티벌에 모습을
드러내는등 50대의 나이에도 불구하고 파워풀한 보컬과
무대매너로 청중들을 열광시켰다.

1994년에 댄스팝 앨범 [The Lead And How To Swing It]을
발표한데 이어 최근에는 후배 뮤지션들과의 듀엣으로 엮은 리메이크 앨범
[Reload]를 발매, 노장의 저력을 과시했다. 팝, 록, 컨트리, 댄스, 테크노 등 장르를
넘나들며 변신을 거듭해 온 [Tom Jones]는 [Jones The Voice]라는 별명대로
바리톤에서 테너의 음역까지 아우르는 놀라운 보컬의 소유자이다. 60이 훨씬
넘는 고령에도 불구하고 나이를 잊게 만드는 열정적인 무대 매너와
쇼맨쉽으로 전세계 음악팬들을 만족시켜주고 있다.